한국어/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이에요/이여요, 예요/여요
NOMADICSAGE
2025. 1. 30. 12:37
반응형
‘이에요/이어요’ | ‘이에요’를 많이 썼는데, ‘이어요’도 널리 쓰이므로 표준형 인정. ‘이에요’와 ‘이어요’는 ‘이다’ 어간 뒤 ‘-에요’, ‘-어요’ 붙은 말. ‘이에요’와 ‘이어요’는 체언 뒤에 붙는데, 받침이 없는 체언에 붙을 때는 ‘예요’, ‘여요’로 줄어든다 |
받침이 있는 인명 | ㄱ. 영숙이+이에요→영숙이이에요→영숙이예요 [이름+이] ㄴ. 영숙이+이어요→영숙이이어요→영숙이여요 [이름+이] ㄷ. 김영숙+이에요→김영숙이에요 [받침있는 명사와 동일] |
받침이 없는 인명 | ㄱ. 철수+이에요→철수이에요→철수예요 ㄴ. 철수+이어요→철수이어요→철수여요 |
받침이 있는 명사 | ㄱ. 장남+이에요→장남이에요 ㄴ. 장남+이어요→장남이어요 |
받침이 없는 명사 | ㄱ. 손자+이에요→손자이에요→손자예요 ㄴ. 손자+이어요→손자이어요→손자여요 |
아니에요(아녜요) 아니어요(아녀요) |
‘아니다’에는 ‘-에요’, ‘-어요’가 연결 되므로 ‘아니+에요(아녜요)’, ‘아니+어요(아녀요) but, ‘이어요’와 ‘이에요’가 붙은 ‘아니여요’, ‘아니예요’는 틀린 표기이다. |
국립국어원 해설 참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