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아지 댕댕이/댕댕이 건강

강아지 등록 의무라구요? 고양이는요? (feat,동물등록제)

by NOMADICSAGE 2023. 8. 26.
반응형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동물등록제를 2014년 1월 1일부터 전국 의무 시행중입니다. 등록대상동물의 소유자는 동물의 보호와 유실·유기 방지 등을 위하여 가까운 시·군·구청에 동물등록을 해야 하며, 등록하지 않을 경우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등록대상동물

주택·준주택에서 기르거나 그 외의 장소에서 반려 목적으로 기르는 월령 2개월 이상인 개

다만, 도서 또는 동물등록 업무를 대행하게 할 수 있는 자가 없는 읍·면 중 시·도의 조례로 정하는 지역에서는 소유자의 선택에 따라 등록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고양이의 경우는?

국가 동물 보호 정보 시스템에 따르면 고양이는 동물등록 불가능이라고 나와있네요 (단, 현재 시범사업 시행중인 지자체에 주소지를 둔 소유자만 가능) 그런데 지자체 동물보호센터를 통한 고양이 입양의 경우는 필수라고 하네요. 여튼 고양이 관련 사항은 별도 확인이 필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동물등록방법

① 내장형 무선식별장치 개체 삽입 / ② 외장형 무선식별장치 부착

 

동물등록절차안내

- 최초 등록시에는 동물등록에게 무선식별장치를 장착하기 위해 반드시 

1.등록대상동물과 동반하여

2.방문신청 하셔야 합니다.

 

- 지자체조례에 따라 대행업체를 통해서만 등록이 가능한 지역이 있으니 시·군·구청 등록을 원하실때에는 가능여부를 사전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등록신청인이 직접 방문하지 않고 대리인이 신청할때는 위임장, 신분증 사본 등이 필요하오니 등록기관에 사전연락하시어 필요서류를 확인,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동물 등록 절차 안내 [국가 동물 보호 정보 시스템]

 

동물등록 유용성

사랑하는 반려견을 잃어버렸을 때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www.animal.go.kr) 상 동물등록정보를 통해 소유자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개와 함께 외출할때에는 소유자의 성명, 전화번호, 동물등록번호가 표시된 인식표를 착용시켜 주세요. (목줄을 착용시키고 배설물이 생기면 바로 치워주세요.)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시·군·구청에 문의하세요.

 

등록동물검색

국가동물보호 정보시스템 내 화면입니다. 연결하시려면 사진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등록대행업체

국가동물보호 정보시스템 웹페이지에서 각 지역별 검색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래 화면은 국가동물보호 정보시스템 내 화면입니다. 연결하시려면 사진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반응형